혹시 아이가 혼자 있는 것을 좀더 편해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어려워하거나 피하는 듯하며 매우 제한된 놀이감이나 활동을 고집하여 답답하신가요? 우리는 이때 아동의 감각 과민 또는 감각회피 중심으로 아동의 문제를 해석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감각 회피는 특정한 감각의 민감도나 불편함 때문에 자극을 피하고 최소화하려고 하는 감각처리 패턴입니다. 소리나, 광경, 질감, 맛, 냄새 및 움직임 등에 대한 민감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감각 회피는 행동, 감정, 사회적 상호 작용, 일상 기능을 포함하여 아동의 발달과 삶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이상 행동 – 특정 감각 경험이나 환경을 회피하거나, 사회적 상호 작용을 거부하면서 감각 자극에 대해 격앙되거나 일반적이지 않은 정서적 반응을 보이는 등의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몸을 흔들거나, 서성거리거나, 의미 없는 소리를 계속 중얼거리거나, 귀를 막는 등의 행동을 하면서 스스로 자신을 조절 시키는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 감정조절 어려움 – 민감한 감각요소에 직면하게 되면 불안, 스트레스 또는 좌절감을 느끼고 짜증, 멜다운, 탠드럼 등의 감정적 폭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사회적 상호작용 회피 – 다양한 감각입력이 수반되는 사회적 상황을 피하거나 또는 사회적 신호를 해석하고 반응하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사회적 상호작용이 어렵습니다.
- 일상적 자조활동의 어려움 – 식사, 옷 입기, 단체 활동 등 일상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특정한 질감, 맛 또는 소리를 견디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과제의 수행도 어렵습니다.
- 학업 성과: 학교 교실 환경에서 감각 자극으로 인해 주의가 산만해지거나 괴로움을 격을 때 학업 환경에 집중하기가 어렵고 학습 결과와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감각 회피는 상호적인 활동에 완전히 참여하고 관계를 형성하며 새로운 환경을 편안하게 탐색하는 능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결국은 아동의 발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즉 우리가 흔히 생각하던 자폐인은 사람을 싫어하고 공감능력이 없다는 틀린 말입니다. 불편한 감각을 피해 스스로 조절하려다 보니 나타난 현상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감각회피를 이해하고 아동에게 맞는 지원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감각적 필요를 수용하기 위한 전략을 구현한다면 우리는 아동이 스스로 감각 회피를 관리하고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면서 사람들과 소통하며 삶을 영유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