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맞춤은 자폐증을 진단하는 결정적인 지표 중의 하나이다. 눈맞춤이 안 되는 것을 통해 자폐증을 조기 발견하기도 하고 눈맞춤이 좋아지는 것으로써 자폐증 치료 성과를 평가하기도 한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자폐증 아동들은 눈맞춤이 안 된다. 간혹 눈맞춤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아주 짧게 이루어지고 지속되지 못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중에는 간혹 대화를 하는 도중 얼굴을 보는아이들이 있는데 이때는 상대방의 눈을 보는 게 아니라 입을 보는것이다. 이는 소리를 내는 발성기관에 대한 호기심일 뿐 사회적인 소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자폐 아동이 눈맞춤이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폐증 아동들에게 눈맞춤은 불가능한 것일까?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자폐 아동들은 눈맞춤을 하고 싶어도 못하는 것이다. 할 수 있는 능력이 안되는 것이다. 그러나 적절하게 노력하면 충분히 눈맞춤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일반인들은 시각정보를 처리할 때 중심적인 테마에 집중을 하고 나머지는 주변 정보로 처리한다. 사회생활에서는 주로 사람에 시선을 집중하고, 주변 사물은 배경 정보 정도로 가볍게 처리된다. 사람에 집중할 수 있도록 중추신경계가 정보처리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자폐증 아동들은 주변 정보와 중심 정보를 구별하지 못한다. 시각적으로 보이는 모든 정보가 중심적인 정보로 처리되어 중추신경계로 쏟아져 들어온다. 그것도 대체적인 이미지 정도가 아니라 세부적인 시각정보까지…. 사람을 볼 때 머리카락 올올이 다 눈에 들어 온다고 상상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이런 상태이니 사람의 얼굴은 엄청나게 쏟아져 들어오는 시각정보 중 아주 작은 일부분에 불과하다.
이런 이유로 자폐증 아동의 대뇌피질에는 사람의 얼굴을 식별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오로지 사물을 분별하는 영역만이 작동한다. 사람을 볼 때 사물을 보는 피질 영역이 활성화된다는 의미다. 눈맞춤을 하고 싶어도 못하는 상태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자폐 아동들이 자신을 돌보는 부모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부모의 눈과 얼굴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이다. 자폐 아동과 함께하는 부모는 아이의 눈맞춤을 결코 포기해서는 안 된다. 성장기 어린이는 왕성한 뇌가소성이 있기에 눈맞춤을 어렵지 않게 만들 수 있다. 아이에게 눈맞춤이 있을 때 더욱 즐거울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라. 그러려고 꾸준하게 노력하면 어느 날 아이가 당신과 눈을 맞추며 웃어주는 날이 올 것이다.